해조류 단백질: 지속 가능한 미래 식량의 새로운 가능성
본문 바로가기
미래식량자원 : 대체 단백질과 지속 가능한 농업

해조류 단백질: 지속 가능한 미래 식량의 새로운 가능성

by findnewworld 2025. 1. 31.

목차

 

해조류 단백질, 차세대 대체 단백질로 주목받다

해조류는 오랫동안 한국을 비롯한 여러 아시아 국가에서 전통적인 식재료로 사용되어 왔다. 미역국, 김밥, 다시마 국물 등 우리의 식탁에서 익숙한 해조류가 최근 단순한 식재료를 넘어 지속 가능한 단백질 공급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해조류는 육상 작물보다 적은 자원으로 빠르게 성장할 수 있으며, 탄소 배출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특히, 일부 해조류는 단백질 함량이 30~50%에 달할 정도로 높아 식물성 단백질원으로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대체 단백질로 각광받던 콩 단백질이나 완두 단백질과 비교해도 우수한 영양소 구성을 갖추고 있으며, 기능성 성분까지 포함되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해조류 단백질: 지속 가능한 미래 식량의 새로운 가능성

해조류 단백질이 풍부한 대표적인 해조류

  • 청각 (Ulva lactuca, Sea Lettuce) : 단백질 함량이 20~30%로 높으며, 철분과 비타민 B12를 포함하고 있어 채식주의자들에게 유용한 단백질 공급원이다.
  • 스피루리나 (Spirulina) : 단백질 함량이 60~70%에 달하며, 필수아미노산과 항산화 물질이 풍부해 건강 보조식품으로 널리 활용된다.
  • 클로렐라 (Chlorella) : 단백질 함량이 50% 이상으로 높은 편이며, 면역력 강화와 해독 작용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김 (Nori, Porphyra) : 단백질 함량이 약 30% 정도이며, 감칠맛을 내는 글루탐산이 풍부하여 자연적인 감미료 역할을 한다.
  • 다시마 (Kombu, Laminaria) : 감칠맛을 내는 글루탐산뿐만 아니라, 다양한 미네랄과 섬유질이 함유되어 있다.
해조류 단백질: 지속 가능한 미래 식량의 새로운 가능성
스피루리나란?
스피루리나는 현미경으로 봐야 할 정도로 작은 나선형(spiral) 구조를 가진 청록색 미세조류로 주로 담수와 염수에서 서식하며, 단백질 함량이 60~70%에 이를 만큼 높아 슈퍼푸드로 분류된다.

스피루리나는 보통 건조된 분말 형태로 가공되어 스무디나
주스, 샐러드의 토핑, 건강보조제, 베이킹 등 다방면에 활용하여 섭취가 가능하다. 
풍부한 단백질과 항산화 성분, 면역력 강화 효과 때문에
헐리우드 배우들이 애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NASA에서는 우주비행사의 영양 공급원으로 연구했을 정도로 미래식량으로서의 가치 역시 높다.

해조류 단백질을 활용한 신개념 식품 개발

최근 해조류 단백질을 활용한 다양한 식품들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으며, 일부는 이미 시장에서 상용화되고 있다.

  • 해조류 단백질 기반 고기 대체 식품 : 유럽과 미국에서는 스피루리나와 클로렐라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활용하여 식물성 대체육을 개발 중이다. 이 단백질은 식감 개선과 영양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 해조류 단백질 음료 및 스낵 : 스피루리나와 청각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활용한 단백질 음료, 에너지바 등이 개발되었으며, 운동 후 회복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 해조류 단백질 면 : 해조류 단백질을 포함한 라면, 파스타, 우동 면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영양 강화와 함께 소화가 용이한 특성을 갖고 있다.
  • 해조류 단백질을 활용한 한국 전통 음식 : 해조류 단백질을 첨가한 된장, 청국장, 간장 등의 발효식품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는 전통적인 발효 기술과 결합하여 감칠맛과 영양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해조류 단백질과 스마트 농업 기술의 결합

해조류는 육지에서 자라는 작물과 달리 바다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기후 변화의 영향을 적게 받으며, 기존의 농업 방식보다 자원 소비가 적다. 최근에는 스마트 해조류 양식 기술이 발전하면서 보다 지속 가능하고 효율적인 단백질 공급이 가능해지고 있다.

  • 해양 스마트팜 :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해 해조류의 성장 환경을 최적화하는 해양 스마트팜이 개발되고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일정한 품질의 해조류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다.
  • 배양 해조류 기술 : 육지에서도 해조류 단백질을 배양할 수 있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는 보다 안정적인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해조류 단백질, 미래 식탁을 바꿀 수 있을까?

해조류 단백질은 단순한 대체 단백질이 아니라, 전통 음식과 융합하여 새로운 식문화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해조류 단백질을 활용한 전통 장류 개발이나 발효 식품과의 결합을 통해 한국식 건강식으로 발전할 수 있다. 또한, 해조류 단백질을 활용한 푸드테크 기반의 혁신적인 제품이 등장하면서 글로벌 식품 시장에서도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앞으로 해조류 단백질이 어떻게 발전하고, 우리의 식탁에 어떤 방식으로 자리 잡을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이 필요하다. 해조류 단백질이 단순한 미래 대체 식량을 넘어, 친숙하면서도 혁신적인 식재료로 자리 잡을 날이 머지않았다.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